내가 늘 가지고 싶어했던 타블렛 노트북.
일단 마음속으로 생각했던 X61t 모델. 그것도 고해상도 모드를 내내 기다렸다.
그f리고 고대하던 그 모델이 국내에 출시되었고, 난 잠시의 망설임과 함께 잽싸게 질러버렸다.
기대 되는 마음을 주체하지 못해 퀵으로 배달까지 받았다.

그리고 포장을 뜯고 내용물을 확인하면서 그 기대감은 만족 그자체였다.
생각보다는 조금 컸지만, 사실 타블렛의 버튼들을 감당하려면 원래 그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은 당연했던 것이였고, 생각 이상으로 가벼웠다.
게다가, 1400 * 1050의 해상도는 정말이지 훌륭했고, x41에서 보이던 모아레 현상도 전혀 없이
말끔한 모습이였다. 게다가 Vista 덕인지, 이 타블렛의 성능덕인지, 펜인식도 훌륭했고
버라이어티한 화면도 무척이나 인상적이였다.

그.러.나. 키보드를 치면서 갑자기 미묘한 이질감이 손끝 손목으로 천천히 스며 들었다.

무언가 흔들리는 듯한 불안한 키 움직임과 키가 눌릴 때 느껴지는 손끝 감각이 미묘하게 틀린 것이다. 물론 내가 키보드의 달인이거나 20만원이 넘는 HHK 키보드의 손맛을 아는 者는 아니지만 TP240Z 부터 X20, X21, X41에 걸쳐 IBM 만이 자랑하는 키보드들의 그 처음 부터 끝까지 손 끝으로 느껴운 者로써는 확실하게 느껴졌다.

일단, 감각으로 그랬다.
그러기에 실제 느낌만 그런 것인지 확인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맨 처음 한 것은 각 키를 하나씩 손가락을 올려보고 살짜쿵 상하 좌우로 흔들어 보았다.
불안하게 흔들린다. 지금 나에게는 X41이 그대로 있는데, 거기서는 단단하게 박힌 느낌이 확실했다. 그에 반해 이 X61t는 그 유격이 확실할 만큼 느껴졌다. 더욱이 충격인 것은 스페이스 바였다. 스페이스 바의 올라오는 정도는 정말이지 가관이였다. 스페이스 바에서 힘을 분산 시키기 위한 철심 양쪽을 지지 하는 하얀색 프라스틱이 아래의 공간에 확연하게 눈에 띄는 것이였다.
어이없는 내 눈에 다시 경악을 금치 못한 부분이 있었는데, 각 키의 높이가 미묘하게 틀렸다.
무슨 인체 공학적으로 유선형으로 휘어진 것도 아니고, 키마다 지 멋대로 높이가 조금씩 조금씩 틀린 것이다.

예전 PC 조립때 덤으로 받은 싸구려 오피스 키보드(예전에 버려버렸다.)가 있었는데, 이 키보드로 1시간 정도 타이핑을 치면 피로감이 절로 흘러나왔는데, 바로 그 현상이 이 X61t 에서 흘러나오는 것이였다.

단돈 50만원짜리 하이얼 노트북도 아닌..... 200만원이 훌쩍 넘는 고급형 서브 노트북이...
그것도 명작 IBM ThinkPad의 이름을 물려 받은 X61t 키보드가 그랬다는 사실이 정말이지 충격이였다.

일단, 내가 뽑기가 잘못되었다 판단하고, 즉시 판매처에 전화했다. 물건 확인 후, 교환 또는 환불을 해주겠다기에 다시 퀵으로 재빠르게 보냈다.
그리고 1시간 후..... 충격적인 증언.
Lenovo에서 T6X 시리즈를 내보내면서 부터 모든 ThinkPad의 키보드가 이 모냥이란다.
예전부터 이런 말이 많았고, 사실 대부분의 모델이 이런 키보드이기에 교환의 의미조차 없다고 했다. 차라리 환불하시는 것이 좋을 거라는 말을 들었다.

240Z 때 부터 IBM이라는 상표가 즉 제품의 신뢰가 되었던 그 이야기. X41까지 면면히 잘 이어오다가 결국 Made in China 라는 딱지가 붙으면서 쓰레기가 되버린 것 같다.
예전 쌍팔년도 우리나라의 내수 제품의 느낌이다.

이제... ThinkPad는 더 이상 명품이라는 이름이 붙을 수 없을 것이다.
명품이 되기 위해서는 10년 이후나 되겠지만, 그 때 즈음에는 다른 회사 제품이 이미 명품 자리를 차지할 것 같다.

이제... 내 머리속에서 노트북 목록에서 Lenovo는 지워야 될 것 같다.
이후, 난 더이상 Lenovo 따윈 사지도 권하지도 않을 것이다.

노친네 처럼 그 옛날 IBM의 추억만 바래지지 않도록 기억해야 겠다.

God Damn !!!!!

728x90
금번 장기간의 프로젝트 휴가를 마치고 다시 업무를 잡았다.
중간에 과장님이 끝나가는 휴가에 쿵덕 쿵덕 심장이 뛰지 않냐고 묻기는 했는데,
그다지 쿵덕 쿵덕한 안달감은 없었고,
노곤과 태만만이 계속 되었던 것 같다.

물론 아예 아무것도 안한것은 아니였다.
집도 청소하고, 정리하고, 책상도 옮기고, 자리도 만들고, 잠자리도 조금 바꾸고,
나름대로 이런 저런 정리를 했다.
나름 뿌듯.

이젠 지금까지 밀렸던 작업들을 찾아 하나씩 해결하면서 정리를 해야 겠다.
728x90



간만에 창우랑 한판 뛰는데...
전에는 이 놈 나타나믄 글케도 사람이 달라 붙더니..
오늘은 쓸쓸히 3명이서 -_-;;

그렇다고 굇수였음 잡기라도 하지.. 단지 기스만 내가며.. 간간히 간간히 미는데..
답이 안나온다.

누군지 모를 한 분이 함께 뛰어 주긴 했지만, 역쉬 -_-;;;;

728x90

내가 이런 통지서를 받게 될줄은 정말 꿈에도 생각해 보지 못했다.
794,627 원.

KTF에서 자신의 할인 율이 무려 771,264 원이라는 것을 강조해줄려고 했던 마케팅 액션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저 고지서 받으면, 뒷목 부터 잡지 않을까 심히 걱정된다.
물론 실제 내는 비용은 25,700 이라지만...

지금 이벤트 기간이라... 저렇겠지만, 만일 진짜 사용되는 시점에.. 저 금액 나올까..
심히 걱정/공포다. 이벤트 끝나자마자 해지 부터 해야 겠다. -_-;;


728x90

내가 초딩때. 아마 연도로 따지면 1980년도 즈음.
그 당시 중국집에서 평범(?)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은 짜장이였고,
돈이 조금 있으면 볶음밥, 아주 특별한 날에 탕수육을 먹을 수 있었다.

그런 시절 중국집에서 만들어 주던 볶음밥이 아직도 내 기억속에 아직도 남아 있다.
그런데, 어느날 부터 인가, 그 볶음밥이 변질된 것 같았다.
게맛살이 들어가 있거나, 햄이 들어가거나, 요즘은 밥 옆에 짜장 부어 놓는게
당연하게 되버린 것 같고.....

그러다 친구와 함께 일본에 가서 처음으로 밥을 먹을 때,
중국집에 들어갔다. 사실 외관만 봐서는 중국집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시설이였지만,
일단 음식들은 라면 및 볶음밥 그 외 간단한 식사류들... 이 모든 것을 파는데
가 일단 일본식 중국집.

그곳에서..그 옛날 먹던 그 중국집의 볶음밥을 먹을 수 있었다.
계란, 약간의 야채, 그리고 돼지고기.
보관이야 어쨌던 부드러운 맛과 꼬돌 부드러운 밥은 정말이지....
최소한 일본에서는 먹는것 가지고 장난 안친다는데...
부러울 뿐이다.

이런 볶음밥 먹을 수 있는 곳이... 우리나라에 이젠 없겠지?



728x90

올 6월 부터 지금까지 계속 해오고 있는 프로젝트다.
SKT 안에서 사용하게될 인트라넷이기에 외부에서는 볼 수 없는 그런 페이지.
이 모든 시스템을 MOSS로 구성하기 위해서 우리회사와 FOR C&C가 붙어 있다.

난이도는 높은 편은 아닌데, 묘하게 일정이 안맞는 구석이 많아 굉장히 힘들었다.
내 나름대로 MOSS에 대해 많이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우물안의
개구리였음이 판명되었다.
너무도.... 희안하게 만든 MS의 MOSS 개발자에게 저절로 고개가 숙여질 만큼이나
복잡 다단해서, 실험과 땅파기의 연속으로 지금까지 온 것 같다.

힘든 건 힘든 것. 쉬운 것은 쉬운 것.
어찌되었던 1차 오픈은 끝냈고.... 이제 남은 것은 2차 오픈.
잘 되야 할텐데... 어떻게 될지....


728x90

원래 동생한테 선물로 건넸던 V43을 안쓰길래 내가 접수했다.
생각했던 것 보다는 그다지 성능도 별로고, 부팅 시간도 오래 걸리고
(왠 PMP가 부팅 시간 이러시는 분... PMP의 운영체제가 HDD에 있다고 생각하면
 충분히 끄덕여 주실 수도.. 게다가, V43 안의 운영체제는 리눅스 였다.)
쓴지 1년 조금 넘겼는데, 밧데리 상태도 최악이였다.

이 놈의 것을 막상 받으니 뭐에 써야 될지...
게다가, 요즘 애니메이션 .. 화질 올리기 위해 MKV 로 인코딩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 PMP에서는 지원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화질이나 음성 질을 높이다 보니..
어지간한 데스크톱에서 돌리지 않으면 안되는 영상까지....

그래도, 일단 막 돌아다니는 파일들을 플레이하는데 지장이 없었고,
긴 시리즈 물을 보는데, 좋을 것 같다는 판단에..
일단 정비를 시작하기로 했다.
먼저 ... 밧데리...
어제 2개 샀다. 생각보다 저렴한 가격(19,000 원)이여서... 그냥 질렀다.
이제... 충전기나 그런거 마련해보고..
이 기계 동호회 사이트에 가서 좀 수정하면 어떻게든 될 것 같다.

당장은 시간이 없어서 무리지만....


728x90
간만에 내 정보들, 특히 문서 및 이메일들을 일요일 내내 정리했다.

일단, 각종 사진.
찍기는 무지하게 찍어놓고, 몰아 넣거나 백업을 전혀 하지 않았는데,
이번에 모든 데이터들을 모으면서 각종 사진들도 모조리 한자리에 모아보았다.
대략 4G 찍혀서, 잽싸게 DVD로 구웠다.

그리고, 내 문서 정보들.
지금까지 양산한 각종 문서 파일들과, 수집한 문서 파일들을 한자리에 모아보았다.
생각보다 엄청난 양. 사실 이정도면 질릴만도 할텐데...
혼재되어 뒤섞인 문서를 분류하는 방법이 마땅치 않아, 일단 전부 모은데에
큰 의의를 두어 한자리에 모조리 모았다.
이건 틈 나는 대로 분류체계를 세워 정리를 해봐야 겠다.

마지막으로 이메일.
그간에 2006년 2월~2006년 6월 사이에 도착한 이메일 중, 누락된 사항이 많았다.
그 때 왜 이런일이 벌어졌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아웃룩의 보관기능을
사용하다가 벌어진 것 같았다.
다행히 백업해 놓은 부분이 있어서,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양의 이메일을
복구할 수 있었다.

이제 계속 생산되는 정보들도 어떻게든 정리에 정리를 해서
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봐야 겠다.


728x90

+ Recent posts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