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근래 많은 기술 서적들을 읽다 보니, 점점 글쓰는 빈도수가 줄어 들고 있다.
더욱이 모자르는 부분이 생기면 기록물을 보기 보다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한 검색만을
시도하고 있다. 물론 넷 망을 통한 검색은 다양한 정보를 찾고 파악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애석하게도 넷망이 끊기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상태가 되고 만다.
지식을 남기기 보다 지식을 활용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확실히 자주하는 것에 익숙해지기 마련인듯, 어느새 글 쓰기가 점점 안되는 것 같다.
글을 쓰려해도 내가 말하려는 주제를 벗어나기 일쑤이며, 무슨 내용을 적고 있는지
조차 헷갈릴 때도 있다. 다분 심각하지 않을까?
중/고등학교 때는 어쭙잖게 소설이랍시고 쓰다 버릇 하다 보니 생각들을 정리하고
글로 표현하는데 이런 저런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어느샌가 그런 것은 잘 안되고,
문제 발견, 문제 해결이라는 아주 단순 무식한 프로그래머 같은 생각만 하고 있다.
다시 돌아와서. 일튼 지금이라도 글 쓰는것에 익숙해지고 자주 써야 할 필요가 있다.
무슨 생각을 가졌는지를 표현하는 능력.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된다.
만약 학교 졸업 대신 석사 과정을 밟았다면... 글쎄 어떻게 됐을까?
더욱이 모자르는 부분이 생기면 기록물을 보기 보다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한 검색만을
시도하고 있다. 물론 넷 망을 통한 검색은 다양한 정보를 찾고 파악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애석하게도 넷망이 끊기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상태가 되고 만다.
지식을 남기기 보다 지식을 활용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확실히 자주하는 것에 익숙해지기 마련인듯, 어느새 글 쓰기가 점점 안되는 것 같다.
글을 쓰려해도 내가 말하려는 주제를 벗어나기 일쑤이며, 무슨 내용을 적고 있는지
조차 헷갈릴 때도 있다. 다분 심각하지 않을까?
중/고등학교 때는 어쭙잖게 소설이랍시고 쓰다 버릇 하다 보니 생각들을 정리하고
글로 표현하는데 이런 저런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어느샌가 그런 것은 잘 안되고,
문제 발견, 문제 해결이라는 아주 단순 무식한 프로그래머 같은 생각만 하고 있다.
다시 돌아와서. 일튼 지금이라도 글 쓰는것에 익숙해지고 자주 써야 할 필요가 있다.
무슨 생각을 가졌는지를 표현하는 능력.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된다.
만약 학교 졸업 대신 석사 과정을 밟았다면... 글쎄 어떻게 됐을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