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라는게 Computer Associates 라는 곳으로 처음에는 무슨 공인 단체 같은 것인줄 알았다. 그런데 왠걸..
CA라는 업체가 있었고, 그 업체가 주최하는 expo 였던 것이였다. 뭐... 어쨋던 아침 부터 바리바리 짐싸들고
서울에 입성하여 이 곳을 참관하게 되었다.
맨먼저 참관 등록 부터 했다. 확실히 전산화가 잘 되있어서, 전처럼 펜대기 대충 돌려 찍는것이 아니라, 이젠 이쁘게 명찰도 찍어서 만들어 주었다. 이곳에서 그 작업을 했다. 여기서 갑자기 이상한 처자가 "어? 명지대세요? 저도 명지대인데..헤헤.. " 거리는 안내 소녀. 아.... 그래요.. 란 말밖엔 해줄 수 없었다. 뒷사람들이 자기도 등록 안시켜줘? 라는 표정으로 바라보는데, 같이 헤헤 거리며 놀순 없지 않은가 -_-;
돈을 쳐바른건지.. 하여간 한 업체에서 이정도의 사이즈로 이런 Expo를 개최했다는 사실이 신기 했다. 물론 전체 규모는 정말이 조그만하지만, 요즘같은 불경기에 이런거 연다는것 자체가 신기한 일 아닐까?
왼쪽의 사진에서..산제이 쿠마라는 사람이 전면 디스플레이에 보이는데,CA 의 CEO라고 한다. 척봐도 인도사람같이 보이는데, 고정관념 때문인지, 왠지 가난해 보인다. 하지만 CEO 답게 깔끔한 말투와 재치는 신선했다. 이젠 양키네 동네 IT 쪽은 인도가 잠식해 가는 분위기인가?
오른쪽 사진은, CBD와 EJB라는 말에.. 혹해서 가본곳이다. 혹시 우리제품과 유사? 혹은 동일? 이라는 의구점을 달달 붙이고 가보았다 .하지만 다행히 이 제품은 AS400 이라는 IBM 서버용이였다. 게다가, 제품 성격도 전혀 달랐다. 완전 Server Base 제품이라.. 우리같은 UI와는 거리가 좀 머언 제품이였다.
기조연설과 세미나를 했던 오디토리움이라는 곳에 들어가는 입구였다. 난 다행히 좀 일찍와서 저런 줄은 안섰지만... 저 줄은 동시 번역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나오는 통역기 받으러 선 줄이였다. 경품이 아니다 -_-;
오디토리움 안에 설치한 인테리어. 단 한번 하는 곳인데, 이렇게 꾸며 놓다니. 흐흐.. 글자뒤에 은은히 나오는 빛이 좋아서 찍었다. 이번 Expo의 주제는 바로 On-Demand 인데.. 나중에, 세미나를 들을때 까지 저 의미를 전혀 알지 못했다.
여기서 강연에 나온 사람이 한명이 국회의원인 남궁 석 (전 삼성SDS 대표이사, 전 정통부장관) 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물론 국회의원이라는 딱지는 상당히 거부감을 일게 만들었지만, 일단 그냥 들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것을 고민하고 많은 것을 생각한 사람이였다. 그 중에서 그가 이야기한 산업 유형에 따라 밥그릇의 문제에 대한 문제에 대한 고찰이 인상깊었다.
그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았다.
농업사회에서는 100% 사람들이 일을 해야 100%의 재화를 생산해 벌어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한사람이라도 제 몫을 벌지 못하면 분명 누군가 굶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공업 산업 사회로 변하면서 50%의 사람들이 일해도 100%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재화를 생산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50%가 놀아도 그 재화가 똑같이 나누어 진다면 그렇게 먹고 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정보화 사회로 넘어가게 되었을때는 20%만 일을 해도 80%가 먹고 살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이야기는 모두가 같은 재화를 똑같이 나누었을때의 이야기가 된다. 그렇다면 나누지 못하게 된다면?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가 그런 모습이 아닌가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하여간 아직도 그의 말은 내 머릿속에서 쉬이 지워지지 않고 있다.
그 국회의원의 인상 갚은 연설이 끝나고 CA의 외국 기술 이사가 나와 CA 제품에 대한 기술적 배경에 대해 이런 저런 설명을 했지만, 그다지 인상은 들지 않았다. 더욱이 번역기에서 떠드는 여자의 말 템포가 말도 안되게 빨라서 무슨 소리인지도 모르겠는데가, 신경이 거슬려 자연스럽게 끄게 만들었다....
다 마치고.. 선착순 500명에게 준다는 쿠폰을 들고 식사를 했다. 하지만, 그다지 식사 거리는 없었고, 그냥 무난하다고 생각한 회덮밥으로 마쳤다.
728x90